원룸 입주청소 비용 10평 18평 (집주인 청소비 부담)

원룸 입주청소 비용은 청소 범위와 평수에 따라 달라지며 10평 기준 보통 20만 23만 28만 원대로 형성됩니다. 청소비는 임대차 계약서에 따른 특약 여부에 따라 집주인이 부담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계약 내용에 따라 세입자 부담으로 전환될 수 있으니 계약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원룸 입주청소 비용 10평 18평 (집주인 청소비 부담)

🔹 10평 원룸 청소비용: 약 20만~23만 원

보통 10평 미만의 원룸은 방 하나, 욕실 하나, 간단한 주방 구조로 되어 있어 청소 범위가 좁은 편이에요. 하지만 입주청소는 단순한 정리가 아닌, 묵은 먼지와 곰팡이, 벽면 오염까지 제거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기본 청소비용이 20만 원 내외부터 시작되죠.
현장 상황이나 오염 상태에 따라 약간의 변동은 있지만 대부분 20만~23만 원 사이로 진행되는 편입니다.

🔹 18평 원룸 청소비용: 약 23만~28만 원

18평대 원룸 또는 오피스텔은 침실 공간 외에 거실, 복도, 주방이 분리된 구조가 많아 청소 범위가 넓어져요. 이에 따라 투입되는 인력과 장비도 늘어나면서, 평균적으로 23만~28만 원 수준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특히 욕실이 2개 이상이거나 테이프 자국·곰팡이 등이 많은 경우에는 견적이 더 올라갈 수도 있어요.


🏠 집주인이 청소비를 부담해야 하나요?

이 부분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죠. 결론부터 말하면, 청소비 부담 주체는 임대차 계약서에 명시된 특약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

✔️ 계약서에 청소비 관련 특약이 없는 경우

청소 상태는 집을 임대하는 기본 조건 중 하나로 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집주인(임대인)이 청소비를 부담해야 해요. 즉, 새 세입자가 입주 전에 집을 깨끗하게 청소된 상태로 인도받는 것은 당연한 권리죠.

✔️ 계약서에 ‘청소비를 세입자가 부담한다’는 특약이 있을 경우

이럴 땐 계약 내용이 우선됩니다. 다만 특약이 있어도 부당한 수준의 비용 청구가 아닌지 꼭 확인해야 해요.
예를 들어 “입주청소 비용 20만 원을 세입자가 부담한다”는 내용이 있다면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두상으로만 전달됐거나,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세입자가 반드시 낼 필요는 없어요.


✅ 입주청소 진행 시 확인할 포인트

  • 청소 범위: 주방, 욕실, 창틀, 환풍구, 바닥, 벽면 등 세부 확인

  • 사용 세제 및 장비: 친환경 세제 사용 여부, 고온 스팀 활용 등

  • 추가 비용 발생 여부: 곰팡이 제거, 줄눈 오염 복원 등 옵션 확인

  • 작업 인원과 소요 시간: 평균 2~3시간 이상 소요됨

  • 검수 절차: 청소 완료 후 입주자 확인 및 피드백 가능 여부


💡 마무리 정리

입주청소는 단순한 ‘청소’가 아니라 새 공간에서의 시작을 위한 정리의 마침표이자 새출발의 시작점이에요.
10평형 원룸은 평균 20만 원대, 18평은 23만~28만 원대에서 청소가 이루어지는 만큼, 적절한 비용과 업체를 꼼꼼히 비교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계약서 상 청소비 부담 특약 여부 꼭 확인하세요! 아무런 내용이 없다면, 청소비는 집주인이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랍니다.

새집느낌 입주청소 문의하기<클릭>

새집느낌 인터넷가입 문의하기<클릭>